-
우황청심원에 들어가는 콩나물의 효능과 콩나물 반찬 만드는방법건강 2021. 9. 8. 10:00728x90반응형
우황청심원에 들어가는 콩나물의 효능과 콩나물 반찬 만드는 방법
오늘은 콩나물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황청심원 ???
원방은 29가지의 약재로 구성이 되어있는데요.
거기에 흔하게 우리가 먹던 콩나물도 들어있다고 합니다.
한약 명칭은 대두황권입니다.
콩에서 누렇게 말려 나온 싹이라는 뜻입니다.
한약재로 쓰이는 콩나물은 우리가 식탁에서 사용하는 콩나물과 조금 다릅니다.
콩나물은 10cm정도까지 길게 키운 것이지만,
한약재 대두황권은 콩에서 싹만 틔운 것입니다.
현미를 싹 틔운것은 발아현미입니다.
보리 싹틔운것은 맥아나 맥아이라고 합니다.
엿 만들때 쓰니까 엿 길금, 엿기름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한약재 대두황권은 바로 콩 길금을 칭하는 것입니다.
쌀, 보리, 콩 이게 다 씨앗인데요.
적당한 온도와 습도가 형성되면 거기서 싹이 트게 됩니다.
콩알에 있던 단백질과 지방을 영양소로 쓰면서 싹이 납니다.
싹이 나면서 콩은 놀라운 변신을 하게 됩니다.
콩은 아무 때나 막 싹이 나는 것을 방지하려고 몸속에 트립신 저해제라는 것을 품고 있습니다.
이것은 콩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도록 하는 물질이라고 합니다.
이것 때문에 콩을 먹으면 소화가 잘 안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런데 콩에서 싹이 나올 때에는 콩 싹이 콩 단백질을 영양분으로 쓰면서 자라야 되기 때문에
단백질 분해제 트립신 저해제가 사라집니다.
오히려 단백질이 잘 분해되어야만 하는 때이기 때문입니다.
콩은 소화가 잘 안되지만 콩나물은 소화가 잘됩니다.
또 콩껍질 부분에는 피틴산이라는 물질이 많이 있는데요.
이게 과하게 섭취되거나 혹은 장 내에서 세균에 의해 분해가 되지 않으면
미네랄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콩에서 싹이 나게 되면 피틴산이 이노시톨로 싹 바뀌게 됩니다.
이노시톨은 세포의 분열과 성장과정에서 엄청 많이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이노시톨은 우리 몸속에 들어오게 되면 인슐린 저항성을 낮춰주고,
세포를 활성화시켜주고 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가 잘 만들어지도록 해주는 기특한 물질이라고 합니다.
이게 바로 콩 싹, 콩나물에서 많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당뇨인들에게 또 대사 증후군이 있는 분들께 아주 좋은 음식입니다.
콩에서 싹이 나서 콩나물이 되는 과정에는 비타민C가 만들어집니다.
또, 원래 콩에는 별로 없었던 베타카로틴이라는 물질이 폭발적으로 늘어가게 됩니다.
이게 몸속에 들어오면 비타민A로 변하게 됩니다.
비타민 B군도 많이 늘어나게 된다고 합니다.
우황청심환에 콩 길금이 들어가게 된 이유는
양기를 끌어올리기 위함이다. 라는 해석이 있다고 합니다.
콩 길금에 들어있는 다양한 비타민 성분이 우리 몸에 활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활력=양기
[콩나물 무침 만들기]
콩나물을 형광 불빛에 놓게 되면 노랗던 콩나물 대두가 파랗게 변해갑니다.
씻어서 다듬고 난 다음 무침을 만들기 전에는 검정 비닐봉지에 씌워두면 좋습니다.
콩나물 밑쪽(뿌리) 쪽에 잇는 아스파라긴산이 숙취해소에도 좋고 비타민C가 많습니다.
[재료]
콩나물 300g
부추 30g
당근 30g
국간장 1큰술
다진 파 1큰술
다진 마늘 1작은술
들기름 1큰술
통깨 1큰술
깻가루1큰술
(고춧가루는 선택)
[콩나물을 익히는 방법 2가지]
1. 냄비에다가 물약 간 넣고 콩나물 올리고 뚜껑 덮어서 익히는 방법
2. 찜기에 찌는 방법
(콩나물이나 숙주를 삶을 때 소금을 넣게 되면 질겨집니다. 소금을 넣지 마세요)
*찜기에 찌는 것이 콩나물의 식감을 살릴 수 있어서 좋다고 합니다.
[조리방법]
1. 콩나물을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제거해줍니다.
2. 김이 오른 찜기에 넣은 다음 뚜껑을 덮고 1분 30초 정도 익혀주세요.
3. 콩나물을 기다리는 동안 부추와 당근을 알맞게 썰어줍니다.(2cm 정도)
4. 익힌 콩나물을 찬물에 얼음을 넣고 재빨리 헹궈 물기를 완전히 털어내 줍니다.
(콩나물 익힘 정도= 콩나물이 투명해지면 다 익음)
5. 볼에 썰어 놓은 부추와 당근, 물기를 뺀 콩나물을 넣고 국간장, 다진 파, 다진 마늘, 들기름을 넣고 버무려줍니다.
참기름보다 들기름이 훨씬 더 콩나물의 비린맛을 없애준다고 합니다.
6. 마지막으로 통깨 1큰술과 깻가루 1큰술, (고춧가루 약간은 선택) 넣어서 가볍게 버무려줍니다.
728x90반응형'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년기 여성에게 좋은 두부? 갱년기에 좋은 마파두부밥 만드는 방법 (2) 2021.09.09 고등어 잘못 먹으면 큰일 난다? 가을에 맛있는 고등어 고르는 방법 (0) 2021.09.08 심혈관질환과 다이어트, 변비에도 좋은 차전자피 효능과 섭취방법 (8) 2021.09.07 고지혈증에 좋은 필수 영양제 오메가3 효능과 섭취 방법 (0) 2021.09.07 코로나19에 강한 면역력 갖는 3가지 방법 면역력에 좋은 차를 추천합니다. (4) 2021.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