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당뇨, 식초를 어떻게 먹는게 가장 좋을까?
    건강 2021. 9. 3. 19:51
    728x90
    반응형

    당뇨, 식초를 어떻게 먹는 게 가장 좋을까?

    출처-pixabay

    [식초 이야기]

    출처-pixabay

    발사믹 식초=와인을 발효시켜 만든 식초

    빵만 먹게되면 혈당이 아주 빠르게 올라갑니다.

    그런데 여기에다가 초를 찍어서 먹게 되면 혈당이 천천히 올라가게 됩니다.

    출처-pixabay

    냉면에 식초 넣어서 먹는것

    출처-pixabay

    김밥, 초밥 만들 때 밥에 초 치는 것

     

    우선 식초를 먹으면 위장에서 음식이 오랫동안 머문다는 설명이 있다고 합니다.

    1997년 유럽 임사 영양 저널에, 또 2007년 BMC 위장 관학 저널에 나온 얘기라고 합니다.

    식초를 먹으니까 소화가 더디게 되면서 혈당이 천천히 오른다는 말입니다.

     

    식초를 먹게 되면 전분을 소화시키는 효소가 좀 비활성화된다.

    전분이 천천히 소화되니까 혈당이 천천히 오르는 거라고 설명하는 논문도 있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의 박사팀이 한 연구인데요.

    당뇨환자 11명에게 식초를 자기 전에 치즈 한 조각과 2 숟갈씩 먹게 하였는데

    혈당이 4%~6% 정도 떨어졌다고 합니다.

     

    우리가 밤에 잠을 잘 때에는 탄수화물이 외부에서 공급되지 않잖아요.

    그런데 우리가 살아 숨을 쉬려면 기본적인 혈당은 유지가 되어야 한다고 해요.

    그래서 밤에는 간에서 당을 만들어 낸다고 합니다.

    이것은 당신생 작용이라고 합니다.

    식초의 아세트산이 간의 당신생 작용을 좀 억제시켜준 것 같다고 합니다.

     

    식초를 먹게 되면 우리 몸의 근육이 혈당을 더 잘 쓰게 된다고 합니다.

    근육이 혈당을 잘 빨아들이면서 잘 쓰고 있다는 것이죠.

     

    식초, 홍초, 흑초의 효능과 차이점은?

    출처-pixabay

    식초

    식초는 탄수화물이 발효되어서 1차적으로 술이 되고

    2차적으로 발효되어 아세트산, 초산이 만들어져서 시계 된다고 합니다.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고 뱃살을 빼는데 도움이 됩니다.

    동물실험=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압을 낮춰준다고 나와있다고 합니다.

    세포실험=항암작용

     

    출처-pixabay

    흑초

    현미(검을 현)

    현미 식초=오래 놔둘수록 색과 향이 진해진다.

    현미=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들어있습니다.

    당과 아미노산이 섞이면서 갈변(숙성) 현상이 됩니다.

    출처-pixabay

    홍초

    홍초의 빨간색은? 

    빨간색 과즙을 넣어서 빨간색입니다.

    석류, 복분자 베리류를 사용하였습니다.

    홍초는 식초가 아니라 음료베이스라고 적혀 있습니다.

    출처-pixabay

    어떤 식초를 골라야 할까요? 식초병 라벨?

     

    식초= 자연발효 당도 높은 과일이 이스트에 의해 발효가 되면 알코올이 되고 알코올이 발효가 되면 식초가 됩니다.

    1차- 술 발효 2차 초발효

     

     

    식초 라벨을 보게 되면 원재료에 주정이라고 쓰여 있다면 1차 술 발효는 생략하고 만든 식초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게 사과식초 같은 경우에는 처음부터 사과를 발효시킨 게 아니라

    알코올에다가 당을 첨가해서 발효시킨 것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사과 냄새 잘 나라고 사과 향료를 첨가하는 식초도 있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100% 자연발효, 정통 사과식초라는 라벨이 적혀있고 주정이니 은 안 적어져 있는 것이라면

    처음부터 끝까지 사과과즙으로만 식초를 만들었다는 말입니다.

    유기농 사과식초라고 쓰여 있는 제품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