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하게 겪는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과 증상은?건강 2021. 8. 31. 14:51728x90반응형
역류=거꾸로 흐는다.
역류성 식도염의 진짜 원인은?
역류성 식도염의 해결책은?
출처-pixabay 음식을 삼키면 식도로 넘어가고 위장에서 운동을 해서 소장으로 내려보내게 되는데요.
위장에 있던 내용물이 거꾸로 식도로 올라온다? 이것이 바로 식도의 역류입니다.
식도 아랫부분에는 밸브가 있습니다. 괄약근이라고 하는 근육인데요.
음식물이 식도에서 위장으로 내려갈 때는 괄약근이 풀리고 올라가려도 하면
괄약근을 조여서 못 올라가게 만다는 역할인데요.
이 괄약근이 우리가 살다 어쩌다 보면 느슨해질 수도 있습니다.
역류성은 가끔 일어날 수 있으나 장기간 자주 계속되면 병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위에는 위산이 들어있습니다. 강산=피부에 닿으면 피부가 녹아버리는 염산
위장은 염산에 견딜 수 있는 점액으로 코팅되어 있어서 녹지 않습니다.
그런데 식도는 그렇지 못해서 위장의 내용물이 자꾸 올라오게 되면
식도염이 되는 것이죠!!
출처-pixabay 가슴 한가운데 부분 흉부 작열감이 역류성 식도염의 정형적인 증상이라고 합니다.
주로 식사 후 통증을 느끼고 밤잠을 설치기도 한다고 합니다.
신물이 자꾸 넘어오고 가슴에 통증이 있으면서
정황상 역류가 의심되면 증상만 가지고 위식도 역류질환이라고 진단을 합니다.
역류의 원인
1. 배의 압력=압력이 세면 밸브가 샘
2. 식도 괄약근 힘=밸브가 헐거울 때
3. 잘 안 내려갈 때=안 내려가니까 올라오는 것
출처-pixabay 혹시 배가 많이 나왔는가?
가장 먼저 봐야 할 부분이 복부비만입니다.
배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역류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횡격막이라는 근육이 식도를 탄탄하게 잘 잡아주어야 괄약근이 잘 조여진다고 합니다.
복부비만이 심해서 횡격막의 구조를 변형시키게 되면 역류성 식도염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뱃살이 있으신데 역류성 식도염이 있다!!! 그렇다면 뱃살을 반드시 뺍시다!!!
출처-pixabay 뱃살도 없고 체구도 왜소한데 역류성 식도염이 있다?
근력이 약화되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드신 여성분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합니다.
위장 근육이 약해서 음식이 잘 안 내려가고 그윽 그윽 자꾸 올라오고
많이 먹지도 못하게 됩니다.
소화가 잘 되게 하는 약+몸의 기운을 북돋아주는 보약을 쓰면
아주 편안해지게 된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혹시 약 때문에?
일부 고혈압약에 근육의 힘을 떨어뜨리는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식도 괄약근 힘 근육도 힘이 빠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항콜린제=과민성 대장, 과민성 방광에 쓰는 약입니다.
식도 괄약근까이 이완시켜버려서 역류성 식도염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일부 우울증 약 일부 안정제, 프로게스테론 제제가 위산의 역류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일부 항생제, 진통제가 속을 쓰리게 만든다고 하니 자신이 현재 먹고 있는 약들을 가져가서
의사나 약사님께 의논해 보시는 것도 좋으실 것 같아요.
출처-pixabay 출처-pixabay 출처-pixabay 또한 담배에 니코틴, 술의 알코올, 커피의 카페인 등이 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기능성 장애 자율신경 실조
부교감신경이 잘 작동해서 소화기관이 잘 돌아간다고 합니다.
자율신경은 감정으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합니다.
신경이 예민하고 걱정이 많은 분들은 잘 체하고 메슥거리고 잘 안 내려간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위산-신맛을 담즙-쓴맛을 낸다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생활요법, 식이요법이 가장 필요하다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습관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1. 배부른 느낌 만들지 않기
=위장의 압력이 증가했다는 것
출처-pixabay 2. 진짜 천천히 먹기
출처-pixabay 3. 밥 한 숟가락에 반찬은 한 가지씩만 먹기
출처-pixabay 4. 한 삼십 번 씹기
=충분히 씹어서 가루를 만들기
출처-pixabay 5. 밥 먹고 눕지 않기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역류하기 쉽습니다.
출처-pixabay 6. 저녁 식사는 잠자기 전 3시간 이전에 먹기.
=위장에 있는 소장으로 내려가는데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출처-pixabay 7. 육식을 줄여보자.
=고기양이 밥의 양보다 많으면 소화에 무리가 될 수 있습니다.
출처-pixabay 8. 술을 멀리하자.
=술 마시면 사람의 근육을 헐렁해지게 만든다.
출처-pixabay 9. 담배를 끊자.
=식도 괄약근을 빠지게 하고 식도와 위점막을 상하게 하고 침이 마르게 한다.
출처-pixabay 10. 야식을 하지 말자.
=5~9번까지가 합쳐진 것입니다.
출처-pixabay 11. 커피를 멀리하자.
=커피에 약하신 분들 조심하셔야 합니다.
공복에 커피에 우유 들어간 것 마시는 게 제일 안 좋습니다.
출처-pixabay 12. 마음을 잘 먹자.
=어떤 마음을 먹었는가. 마음이 답답하면 위장에 안 좋습니다.
감사하는 마음과 만족하는 마음을 가져봅시다.
속이 편해질 것입니다.
728x90반응형'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깨를 먹는 가장 좋은 방법 들깨가루 관리 주의 방법 (0) 2021.09.02 슈퍼푸드 주황색 푸드 당근을 먹는 가장 좋은 방법 (0) 2021.09.01 살찌지 않는 체질이 되는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0) 2021.08.30 고지혈증의 원인과 식이요법 덜 먹어야 할 음식과 더 먹어야하는 음식 (2) 2021.08.28 고지혈증약 고혈압약 먹는 분들이 반드시 피해야 하는 과일이 있다? (0) 2021.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