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터냐 마가린이냐 그 차이점이 뭘까요?건강 2021. 9. 6. 17:22728x90반응형
버터냐 마가린이냐 그 차이점이 뭘까요?
오늘은 버터와 마가린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버터는 무엇이고 마가린은 무엇일까요?
출처-pixabay 버터는 우유에 있는 지방을 굳힌 것입니다.
출처-pixabay 마가린은 식물성 기름에다가 수소가스를 고압으로 주입해서 굳힌 것입니다.
식물성 기름은 액체라서 보관하기가 어렵고
또 불포화지방산이라서 산패되기도 쉽다고 해요. 그래서 굳힌다고 합니다.
기름에다가 수소를 고압으로 주입하면 불포화되어 있던 이중결합이 포화되면서
기름이 딱딱하게 굳어지게 됩니다.
이걸 경화유라고 합니다. 쇼트닝이라고 하는 게 바로 이런 기름입니다.
출처-pixabay *쇼트닝-과자의 풍미를 증진시켜주고
더욱 바삭한 식감을 위해서 제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돼지기름이나 식물성 기름에 질소가스를 이겨 넣어서 인위적으로 굳혀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마가린은 비싼 버터를 대체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해요.
말하자면 짝퉁 버터라고 합니다.
마가린 만들려고 식물성 기름에다가 수소를 고압으로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트랜스지방산이라는 게 만들어지는데요
이건 자연 상태에서 흔하게 존재하지 않는 지방산입니다.
트랜스지방산의 과도한 섭취가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암 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주류 학계의 정설로 굳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요즘에는 트랜스 방산이 없는 마가린도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요
트랜스지방산이 심장혈관 질환으로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위적으로 트랜스지방산이 들어가는 유지류는 안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출처-pixabay 마가린을 만들 때 팜유를 가지고 만드는데요.
팜유는 아영 대지 방에서 나오는 야자유로 만드는 기름이라고 합니다.
이게 포화지방산으로 이뤄져 있다고 해서 심장전문의들은 이 기름을 경계하고 있다고 합니다.
마가린의 표시내용에 보면 에스테르 화유라는 게 쓰여 있는데요
이건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라는 화학처리를 해서 만드는 지방이라고 합니다.
다른 이상한 지방을 만들어 낸 것이라고 합니다.
출처- pixabay 2007년에 미국과 말레이시아의 연구팀이 공동으로 트랜스지방과 에스테르 화유에 대해서
연구해서 발표한 논문이 있다고 합니다.
이 논문에 의하면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통해서 만들어진 지방이 당대사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혈당을 20%나 높인다고 합니다.
트랜스지방보다도 더 나쁘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요즘 이 기름 가지고 튀긴 과자들이 많이 있다고 합니다.
마가린에서는 버터와 같은 고소한 향이 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고소하고 맛있게 보이려면 색소를 첨가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예전에는 밥에 마가린을 넣고 비벼서 마가린밥을 많이 해서 먹었는데요.
버터 건 마가린이건 별로 먹을 필요는 없는 음식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다고 합니다.
요즘에는 버터나 마가린이 필요할 정도로 지방이 부족할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입니다.
버터는 주로 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포화지방을 많이 먹으면 콜레스테롤 대사에 문제가 생깁니다.
먹는 게 문제가 돼서 혈액 속에 콜레스테롤이 높아지는 것은
콜레스테롤을 많이 먹어서 그러는 게 아니라 포화지방산을 많이 먹어서 그렇게 된다고 합니다.
출처-pixabay 돈가스, 탕수육, 후라이드 치킨, 빵, 케이크, 도넛, 과자, 튀김 등 이런 고소하고 맛있는 음식들이
포화지방, 트랜스지방산 덩어리라고 합니다.
완전히 안 먹을 수는 없으니 가끔씩만 드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버터를 넣으면 음식이 더욱 고소해지고 풍미가 있습니다.
우리 집에 있는 버터를 살펴볼까요?
출처-pixabay 진짜 버터와 가짜 버터가 있다고 하는데요.
뒷면에 보셔서 가공버터라고 쓰여있는 버터는
천연 버터가 아닌 것입니다.
마트에서 볼 수 있는 버터 상당수가 가공버터라고 하니 잘 살펴보시고 구매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버터와 기 버터의 차이?
출처-pixabay 기(GHEE) 버터
-풀 먹인 소에서 나온 우유로 만듦
-인디언 인증 버터, 무수 우유 지방
-무염 버터를 낮은 온도에서 녹이고, 서서히 끓여서 수분이 증발하고
기름으로부터 우유의 고형성분을 분리시켜 만듦.
-상온 3개월, 냉장고 1년 정도 보관 가능
-수분, 유단백질을 제거한 것
728x90반응형'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혈증에 좋은 필수 영양제 오메가3 효능과 섭취 방법 (0) 2021.09.07 코로나19에 강한 면역력 갖는 3가지 방법 면역력에 좋은 차를 추천합니다. (4) 2021.09.07 방탄커피를 마시면 살이 빠질까? (4) 2021.09.06 장 해독에 가장 좋은 우엉 효능과 먹는 방법? (0) 2021.09.06 변비에 좋은 음식 반찬? 토끼똥 원인? (0) 2021.09.04